Home window 컴퓨터에서 linux 환경 사용하기, vscode에서 linux환경을 사용하기
Post
Cancel

window 컴퓨터에서 linux 환경 사용하기, vscode에서 linux환경을 사용하기

1
본 포스트는 mac 환경에서만 작업하다가 window 데스크탑을 마련한 사람이 적응해나가는 모습을 담은 포스트입니다.


Window 환경에서 Linux 환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SL(Windowns Subsystem for Linux)을 설치해야 한다.


1. 가상 머신 플랫폼 활성화 하기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n 기능 켜기/끄기 > 가상 머신 플랫폼 활성화 후 재부팅

image

2. wsl 설치할 수 있는 os 확인 후 마음에 드는 os 설치하기

설치할 수 있는 os 확인

1
wsl --list --online

image

마음에 드는 os 설치

1
wsl --install -d Ubuntu

image

Ubuntu가 설치되었는데 오류가 난다면?

image

WSL2버전에서 Linux 커널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나오는 오류!
아래 링크에 가서 각 머신 버전에 맞는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받고 설치해주자!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 링크: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manual#step-4—download-the-linux-kernel-update-package


그럼 정상적으로 버전이 보인다!

image

그 다음, powershell의 탭에서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Ubuntu가 나오는데 이를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을 볼 수 있다

image

그럼 우분투 설치 완료!

3. VSCode 에서 Ubuntu 사용하기

이제 이 환경을 vscode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해보려면!

vscode 코드를 열고 WSL extension을 설치해주고

image

왼쪽 remote explorer > Ubuntu 아이콘에 커서를 가져가면 화살표가 나오는데
Connect in Current Window로 이를 클릭하면 바로 VScode가 우분투에서 실행되는 것처럼 화면이 바뀌면서 Ubuntu에서 VScode를 사용하는 것처럼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image



4. 기타 오류에 대하여

4.1. ERROR: 0x80370102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370102 please enable the virtual machine platform windows feature and ensure virtualization is enabled in the bios

해결방법:

1) windows 기능 켜기/끄기 검색
2) 아래 그림에서 다음의 기능을 활성화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 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
  • 가상 머신 플랫폼

image

3) 시스템 재시작

4) 그래도 안된다면?

  • 각 메인보드의 bios 화면에 진입하여 가상환경 관련 설정 활성화하기



참고:
WSL2설치
WSL 에러 해결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